|
|
@@ -0,0 +1,348 @@
|
|
|
+## 가이드
|
|
|
+
|
|
|
+이것은 **Markdown** 타이포그래피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의 예입니다. 이를 배우면 글을 보다 선명하고 명료하게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|
|
|
+
|
|
|
+> 인용 텍스트: 마크 다운은 텍스트 서식 구문에서 영감을 얻은 것입니다.
|
|
|
+
|
|
|
+## 문법 가이드
|
|
|
+
|
|
|
+### 일반 내용
|
|
|
+
|
|
|
+이 컨텐츠는 다음과 같은 컨텐츠의 일부 활자체 형식을 보여줍니다.
|
|
|
+
|
|
|
+- **굵게** - `**굵게**`
|
|
|
+- *기울임꼴* - ` *기울임꼴*`
|
|
|
+- ~~취소선~~ - ` ~~취소선 ~~`
|
|
|
+- `코드 태그` - ` ``코드 태그`` `
|
|
|
+- [하이퍼 링크](https://www.google.com "구글") - `[하이퍼 링크](https://www.google.com "구글")`
|
|
|
+- [[email protected]](mailto:[email protected]) - `[[email protected]](mailto:[email protected])`
|
|
|
+
|
|
|
+### 멘션 사용자
|
|
|
+
|
|
|
+@Vanessa는 `@User`를 통해 컨텐츠에서 사용자를 언급할 수 있으며 언급된 사용자에게 시스템에 의해 통지됩니다.
|
|
|
+
|
|
|
+> 참고 :
|
|
|
+>
|
|
|
+> 1. @username 뒤에 공백이 필요합니다
|
|
|
+> 2. 초보자에게는 @의 기능 권한이 없습니다.
|
|
|
+
|
|
|
+### 이모티콘
|
|
|
+
|
|
|
+대부분의 표준 이모티콘을 지원합니다. 입력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문자 형식을 수동으로 입력 할 수 있습니다. `:`를 입력하여 자동 완성을 시작하며, 개인 설정에서 [이모티콘 설정](https://github.com/jakekwak/vditor/blob/master/demo/index.js)을 미리 등록 해 놓을 수 있습니다.
|
|
|
+
|
|
|
+#### 일부 표현 예
|
|
|
+
|
|
|
+:smile: :laughing: :dizzy_face: :sob: :cold_sweat: :sweat_smile: :cry: :triumph: :heart_eyes: :relieved:
|
|
|
+:+1: :-1: :100: :clap: :bell: :gift: :question: :bomb: :heart: :coffee: :cyclone: :bow: :kiss: :pray: :anger:
|
|
|
+
|
|
|
+### 제목 3
|
|
|
+
|
|
|
+H1 ~ H6을 사용하도록 선택하고 ##(N)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. 게시물 또는 답글의 최상위 제목에는 제목 3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제목1은 시스템 사이트 수준이고 제목2는 게시물 제목 수준이므로 1 또는 2는 사용하지 마십시오.
|
|
|
+
|
|
|
+> 참고: # 뒤에 공백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!
|
|
|
+
|
|
|
+#### 제목 4
|
|
|
+
|
|
|
+##### 제목 5
|
|
|
+
|
|
|
+###### 제목 6
|
|
|
+
|
|
|
+### 사진
|
|
|
+
|
|
|
+```
|
|
|
+
|
|
|
+
|
|
|
+```
|
|
|
+
|
|
|
+직접 복사하여 붙여 넣기 및 업로드를 지원합니다.
|
|
|
+
|
|
|
+### 코드 블록
|
|
|
+
|
|
|
+#### 보통
|
|
|
+
|
|
|
+```
|
|
|
+*emphasize* **strong**
|
|
|
+_emphasize_ __strong__
|
|
|
+var a = 1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# 구문 강조 지원
|
|
|
+
|
|
|
+\``` 다음에 언어 이름을 따르는 경우 다음과 같이 구문 강조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
|
|
|
+
|
|
|
+##### Go 코드 강조
|
|
|
+
|
|
|
+```go
|
|
|
+package main
|
|
|
+
|
|
|
+import "fmt"
|
|
|
+
|
|
|
+func main() {
|
|
|
+ fmt.Println("Hello, world!")
|
|
|
+}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## Java 코드 강조
|
|
|
+
|
|
|
+```java
|
|
|
+public class HelloWorld {
|
|
|
+
|
|
|
+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|
|
|
+ System.out.println("Hello World!");
|
|
|
+ }
|
|
|
+
|
|
|
+}
|
|
|
+```
|
|
|
+
|
|
|
+> 팁: 언어 이름은 다음을 지원합니다: `ruby`, `python`, `js`, `html`, `erb`, `css`, `coffee`, `bash`, `json`, `yml`, `xml` ...
|
|
|
+> [참조](https://github.com/Vanessa219/vditor/blob/3443d41c91f7dba8cc41614ef8d10394440d10c1/src/ts/constants.ts)
|
|
|
+
|
|
|
+### 순서 없는/순서 있는 목록
|
|
|
+
|
|
|
+#### 순서 없는 목록
|
|
|
+
|
|
|
+- Java
|
|
|
+ - Spring
|
|
|
+ - IoC
|
|
|
+ - AOP
|
|
|
+- Go
|
|
|
+ - gofmt
|
|
|
+ - Wide
|
|
|
+- Node.js
|
|
|
+ - Koa
|
|
|
+ - Express
|
|
|
+
|
|
|
+#### 순서 있는 목록
|
|
|
+
|
|
|
+1. Node.js
|
|
|
+ 1. Express
|
|
|
+ 2. Koa
|
|
|
+ 3. Sails
|
|
|
+2. Go
|
|
|
+ 1. gofmt
|
|
|
+ 2. Wide
|
|
|
+3. Java
|
|
|
+ 1. Latke
|
|
|
+ 2. IDEA
|
|
|
+
|
|
|
+#### 체크 박스
|
|
|
+
|
|
|
+- [x] 글쓰기
|
|
|
+- [X] 시장 방문하기
|
|
|
+- [ ] 치과 의사 예약
|
|
|
+
|
|
|
+### 테이블
|
|
|
+
|
|
|
+데이터 또는 무언가를 표시해야하는 경우 테이블을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.
|
|
|
+
|
|
|
+| 헤더 1 | 헤더 2 |
|
|
|
+| ---- | ---- |
|
|
|
+| 셀 1 | 셀 2 |
|
|
|
+| 셀 3 | 셀 4 |
|
|
|
+| 셀 5 | 셀 6 |
|
|
|
+
|
|
|
+### 세부 사항 숨기기
|
|
|
+
|
|
|
+<details>
|
|
|
+<summary> 여기에 요약이 있습니다. </summary>
|
|
|
+
|
|
|
+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|
|
|
+</details>
|
|
|
+
|
|
|
+### 단락
|
|
|
+
|
|
|
+빈 줄을 사용하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컨텐츠를 분할 할 수 있습니다. (이것은 첫 번째 단락입니다)
|
|
|
+
|
|
|
+마크 다운 타이포그래피에서 빈 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(이것은 두 번째 단락입니다)
|
|
|
+
|
|
|
+### 링크 참조
|
|
|
+
|
|
|
+[링크 텍스트][링크 참조]
|
|
|
+
|
|
|
+[링크 참조]: https://b3log.org
|
|
|
+
|
|
|
+```
|
|
|
+[링크 텍스트][링크 참조]
|
|
|
+
|
|
|
+[링크 참조]: https://b3log.org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 수학 공식
|
|
|
+> [`KaTeX`](https://katex.org/)인 경우입니다. ([`MathJax`](https://www.mathjax.org/)도 지원합니다.)
|
|
|
+
|
|
|
+여러 줄 수식 블록:
|
|
|
+
|
|
|
+$$
|
|
|
+\frac{1}{
|
|
|
+ \Bigl(\sqrt{\phi \sqrt{5}}-\phi\Bigr) e^{
|
|
|
+ \frac25 \pi}} = 1+\frac{e^{-2\pi}} {1+\frac{e^{-4\pi}} {
|
|
|
+ 1+\frac{e^{-6\pi}}
|
|
|
+ {1+\frac{e^{-8\pi}}{1+\cdots}}
|
|
|
+ }
|
|
|
+}
|
|
|
+$$
|
|
|
+
|
|
|
+인라인 공식:
|
|
|
+
|
|
|
+공식 $a^2 + b^2 = \color{red}c^2$는 인라인입니다.
|
|
|
+
|
|
|
+### 플로우 차트
|
|
|
+
|
|
|
+```mermaid
|
|
|
+graph TB
|
|
|
+ c1-->a2
|
|
|
+ subgraph one
|
|
|
+ a1-->a2
|
|
|
+ end
|
|
|
+ subgraph two
|
|
|
+ b1-->b2
|
|
|
+ end
|
|
|
+ subgraph three
|
|
|
+ c1-->c2
|
|
|
+ end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 타이밍 다이어그램
|
|
|
+
|
|
|
+```mermaid
|
|
|
+sequenceDiagram
|
|
|
+ Alice->>John: Hello John, how are you?
|
|
|
+ loop Every minute
|
|
|
+ John-->>Alice: Great!
|
|
|
+ end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 간트 차트
|
|
|
+
|
|
|
+```mermaid
|
|
|
+gantt
|
|
|
+ title A Gantt Diagram
|
|
|
+ dateFormat YYYY-MM-DD
|
|
|
+ section Section
|
|
|
+ A task :a1, 2019-01-01, 30d
|
|
|
+ Another task :after a1 , 20d
|
|
|
+ section Another
|
|
|
+ Task in sec :2019-01-12 , 12d
|
|
|
+ another task : 24d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 차트
|
|
|
+
|
|
|
+```echarts
|
|
|
+{
|
|
|
+ "title": { "text": "최근 30일" },
|
|
|
+ "tooltip": { "trigger": "axis", "axisPointer": { "lineStyle": { "width": 0 } } },
|
|
|
+ "legend": { "data": ["게시물", "사용자", "답장"] },
|
|
|
+ "xAxis": [{
|
|
|
+ "type": "category",
|
|
|
+ "boundaryGap": false,
|
|
|
+ "data": ["2019-05-08","2019-05-09","2019-05-10","2019-05-11","2019-05-12","2019-05-13","2019-05-14","2019-05-15","2019-05-16","2019-05-17","2019-05-18","2019-05-19","2019-05-20","2019-05-21","2019-05-22","2019-05-23","2019-05-24","2019-05-25","2019-05-26","2019-05-27","2019-05-28","2019-05-29","2019-05-30","2019-05-31","2019-06-01","2019-06-02","2019-06-03","2019-06-04","2019-06-05","2019-06-06","2019-06-07"],
|
|
|
+ "axisTick": { "show": false },
|
|
|
+ "axisLine": { "show": false }
|
|
|
+ }],
|
|
|
+ "yAxis": [{ "type": "value", "axisTick": { "show": false }, "axisLine": { "show": false }, "splitLine": { "lineStyle": { "color": "rgba(0, 0, 0, .38)", "type": "dashed" } } }],
|
|
|
+ "series": [
|
|
|
+ {
|
|
|
+ "name": "게시물", "type": "line", "smooth": true, "itemStyle": { "color": "#d23f31" }, "areaStyle": { "normal": {} }, "z": 3,
|
|
|
+ "data": ["18","14","22","9","7","18","10","12","13","16","6","9","15","15","12","15","8","14","9","10","29","22","14","22","9","10","15","9","9","15","0"]
|
|
|
+ },
|
|
|
+ {
|
|
|
+ "name": "사용자", "type": "line", "smooth": true, "itemStyle": { "color": "#f1e05a" }, "areaStyle": { "normal": {} }, "z": 2,
|
|
|
+ "data": ["31","33","30","23","16","29","23","37","41","29","16","13","39","23","38","136","89","35","22","50","57","47","36","59","14","23","46","44","51","43","0"]
|
|
|
+ },
|
|
|
+ {
|
|
|
+ "name": "답장", "type": "line", "smooth": true, "itemStyle": { "color": "#4285f4" }, "areaStyle": { "normal": {} }, "z": 1,
|
|
|
+ "data": ["35","42","73","15","43","58","55","35","46","87","36","15","44","76","130","73","50","20","21","54","48","73","60","89","26","27","70","63","55","37","0"]
|
|
|
+ }
|
|
|
+ ]
|
|
|
+}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 악보 (abcjs)
|
|
|
+
|
|
|
+```abc
|
|
|
+X: 1
|
|
|
+T: 서울의 달
|
|
|
+M: C
|
|
|
+L: 1/8
|
|
|
+R: reel
|
|
|
+K: Eb
|
|
|
+"Cm" z8 | z8 | z ([EG] [E5G5]) | "Gm/Bb" [D8G8] |
|
|
|
+"Ab"[E4A4] "Bb"[D4F4] | "Eb"[E4G4] "G7"[D4A4] | "Cm" [G8c8] | "F/A" [F5c5] d2|
|
|
|
+"Ab" [A4e4] "G7"[=Bd]f d'2 |"Cm" e'8 | "F/A" f'8 | "Ab"[A4c4e'4] "G7"[G4=Bd'4] |
|
|
|
+"Cm" ([G8c8c'8] | [G4c4c'4]) z2 gfed |: cGcG cGcG | "F" cFcF cFcF |
|
|
|
+"Ab" cEcE cEcE | "G7"z (d d/2)c/2d/2c/2 d2 g/2f/2e/2d/2 | "Cm" e/2c3/2 ef/2(g/2 g4) | "F" f3/2g/2 f/4g/4f/2e [c2e2] z c/2d/2 |
|
|
|
+"Ab" e4 "G7"c/4d3/2 c=B/2(c/2 | "Cm"c)c z/2 d/2e/2d/2 c2 [G2c2] | CGFG C/2GF/2G2|FF FG/2G/2C2 z2 |
|
|
|
+w: ~ ~ ~ ~ ~ ~ ~ ~ ~ ~ ~ ~ ~ 서 울 살 이 타 향 살 이 고 달 픈 날 ~ 에
|
|
|
+EEEE GG GG/2(G/2| "G7"G/4)(D3/2 D2) z4|"Cm"CGFG C/2GF/2G2|FF FG/2G/2C2 z2|
|
|
|
+w: 울 엄 마 가 생 각 이 난 ~ ~ 다 ~ 조 물 조 물 무 쳐 주 신 나 물 반 찬 ~ 에
|
|
|
+EEEE GG GG/2G/2|C4 z4|cccB c/2B(c/2 c2)|BB cB/2B/2 G2 z2|
|
|
|
+w: 된 장 찌 게 먹 고 싶 구 ~ 나 겁 도 없 이 떠 나 온 ~ 머 나 먼 길 ~ 에
|
|
|
+cccB c/2B(c/2 c2)|dd dc/2(d/2 (d4)|d4) z Ged | c2 c3/2c/2 d e3 |
|
|
|
+w: 보 고 싶 은 내 고 향 ~ 눈 에 밟 힌 다 ~ ~ 언 젠 가 서 울 에 가 서
|
|
|
+c2 c3/2c/2 d e3 | z B/2B/2 Bc dd cd/2d/2 |G4 z Ged | c2 c3/2c/2 d e3 |
|
|
|
+w: 성 공 을 해 서 돌 아 온 다 약 속 했 는 ~ 데 세 상 에 울 고 웃 다 가
|
|
|
+f/2f/2 fe/2(f/2 f4) |z e/2e/2 ee ff ed/2d/2 | c6 z2 | eeee ffed |
|
|
|
+w: 바 쁘 다 보 니 ~ 꿈 에 서 나 갈 수 있 구 나 ~ 서 울 의 달 바 라 보 면
|
|
|
+d(c c4) z2 :|
|
|
|
+w: 서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 Graphviz
|
|
|
+
|
|
|
+```graphviz
|
|
|
+digraph finite_state_machine {
|
|
|
+ rankdir=LR;
|
|
|
+ size="8,5"
|
|
|
+ node [shape = doublecircle]; S;
|
|
|
+ node [shape = point ]; qi
|
|
|
+
|
|
|
+ node [shape = circle];
|
|
|
+ qi -> S;
|
|
|
+ S -> q1 [ label = "a" ];
|
|
|
+ S -> S [ label = "a" ];
|
|
|
+ q1 -> S [ label = "a" ];
|
|
|
+ q1 -> q2 [ label = "ddb" ];
|
|
|
+ q2 -> q1 [ label = "b" ];
|
|
|
+ q2 -> q2 [ label = "b" ];
|
|
|
+}
|
|
|
+```
|
|
|
+
|
|
|
+### 멀티미디어
|
|
|
+
|
|
|
+**youtube.com**
|
|
|
+v.qq.com,youku.com,coub.com,facebook.com/video,dailymotion.com,.mp4,.m4v,.ogg,.ogv,.webm,.mp3,.wav 링크 지원 파싱
|
|
|
+
|
|
|
+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S4xoOW4DVKE
|
|
|
+
|
|
|
+### 각주
|
|
|
+
|
|
|
+각주 참조[^1], 다른 각주 참조[^bignote]가 있습니다.
|
|
|
+[^1]: 첫 번째 각주 정의.
|
|
|
+[^bignote]: 각주 정의는 여러 단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
|
+
|
|
|
+ 들여 쓰기 및 정렬된 단락이 이 각주 정의에 포함됩니다.
|
|
|
+
|
|
|
+ ```
|
|
|
+ 코드 블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
|
+ ```
|
|
|
+
|
|
|
+ **굵게** 및 [링크](https://b3log.org)와 같은 다른 줄 수준의 타이포그래피 문법이 있습니다.
|
|
|
+
|
|
|
+```
|
|
|
+각주 참조[^1], 다른 각주 참조[^bignote]가 있습니다.
|
|
|
+[^1]: 첫 번째 각주 정의.
|
|
|
+[^bignote]: 각주 정의는 여러 단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
|
+
|
|
|
+ 들여 쓰기 및 정렬된 단락이 이 각주 정의에 포함됩니다.
|
|
|
+
|
|
|
+ ```
|
|
|
+ 코드 블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
|
+ ```
|
|
|
+
|
|
|
+ **굵게** 및 [링크](https://b3log.org)와 같은 다른 줄 수준의 타이포그래피 문법이 있습니다.
|
|
|
+```
|
|
|
+
|
|
|
+## 바로 가기
|
|
|
+
|
|
|
+우리 편집기는 많은 단축키를 지원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[키보드 단축키](https://hacpai.com/article/1582778815353)를 참조하십시오 (또는 툴바의 "`?`" 누르세요 ?).
|